<p></p><br /><br />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화산섬 울릉도가 신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징어 잡이 부진으로 관광사업이 주요 수입원으로 바뀌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 과정에서 울릉도는 난개발로 뒤집히고 파헤져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혜정 기자의 더깊은뉴스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석포마을에선 죽도가 손에 닿을 듯 합니다. 화창한 날이면 독도도 한 눈에 들어옵니다. <br> <br>4대 째 울릉도를 지키는 토박이 이덕준 씨. <br> <br>[이덕준 / 울릉도 주민] <br>"그 때 생각하면 많이 좋아졌지. 그 당시에는 생각조차 못했고, 길이 난다고 하는 건." <br> <br>하지만 이 씨가 기억하는 어린시절 울릉도의 아름다움은 어느덧 그리움이 됐습니다. <br> <br>[이덕준 / 울릉도 주민] <br>"자연스러운 아름다운 돌이 보기좋게 있었고. 몽돌 해변도 많이 없어지니… 한마디로 말해서 안타깝다는 그런 말 밖에는 못하겠어." <br><br>바위산의 허리를 잘라 놓은 듯 일자로 난 통로. <br> <br>2014년 110억 원을 들여 착공한 해안산책로입니다. <br> <br>[울릉도 주민] <br>"관광자원으로 개발하려고 했는데, 여러가지 이유로 현재 공사가 중단된 상태거든요." <br><br>공사 도중 붕괴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개통이 미뤄진 건데, 화산활동과 파도가 조각해 낸 현무암 절벽은 이렇게 생채기만 <br>남은채 4년째 방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[울릉도 주민] <br>"깜짝 놀라죠. 너무 변해 버렸으니까. 개발 속도가 너무 빨라요. 한달 두 달 만에 세상이, 지형이 바뀌어 있어요." <br><br>단절 구간을 이어 해안선을 따라 울릉도를 일주하는 도로건설사업. <br> <br>울릉도 주민들에겐 오랜 숙원사업이기도 합니다.<br><br>하지만 공사구간이 멸종위기종 2급 식물인 섬현삼 군락지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난개발 논란이 커졌습니다.<br> <br>[박재홍 / 경북대 울릉도·독도연구소장] <br>"(섬현삼은) 울릉도 밖에 안 나는 거예요. 전 세계에서. 대부분 해안가, 도로 주위에 있는 거예요. 도로를 닦다 보면 다 멸종하죠." <br> <br>[전혜정 기자] <br>"공사가 한창인 이곳은 울릉도 일주도로의 마지막, 종점입니다. <br> <br>출발지점인 내수전까지 연결하기 위해선 앞으로 4.75㎞ 정도 공사를 더 해야 하는데요. <br> <br>때문에 추가적인 환경훼손을 우려하는 이들도 적지 않습니다." <br> <br>[김재연 / 경기 남양주시] <br>"터널을 뚫는 데가 많고 포크레인도 많이 봐서 앞으로 자연경관이 변할까 좀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었어요." <br> <br>[최광윤 / 경기 김포시] <br>"경치를 보려고 오는 건데, 너무 많이 발전돼 있으면 그런 것도 문제이지 않을까." <br><br>울릉도 난개발 논란은 국가주도의 대형 SOC 사업이 곳곳에 추진되면서 불거졌습니다. <br><br>향나무 군락지로 유명한 통구미 마을도 개발로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 곳 중 하나입니다. <br> <br>[통구미마을 주민] <br>"공사를 진행하고 지금 저렇게 안전장치를 해놓은 건데, 저런 데 보면 엄청 위험하거든요. 여기 (집에) 충격이 안 간다는 보장을 못하잖아요." <br> <br>터널공사의 소음과 진동은 향나무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도 고통을 주고 있습니다. <br> <br>[통구미마을 주민] <br>"새벽 두 시에 일어나서 쪼그리고 앉아 있었어요. 잠이 안 와서. 무서워서. 계속 발파를 붕붕 하니까 밑에서 울리고 밤새도록. 이건 사람이 사는 동네가 아니고. " <br> <br>건설사 측은 보상금 지급 문제로 공사가 지연됐다며 볼멘소리를 냅니다. <br> <br>[건설사 관계자] <br>"저희가 사실 계속 작업을 못 했어요. 주민들이 너무 반대해서. 24시간(동안) 터널 같은 경우에는 작업하거든요. 그런데 그렇게 못하고." <br><br>개발이 예정된 공항 부지와 항구 주변 부동산 가격은 투기과열 조짐도 보이고 있습니다.<br> <br>그런데도 개발의 이익은 지역주민의 몫이 아닙니다. <br> <br>[부동산 관계자] <br>"다들 공항 때문에 (투자)하시는 거고요. 외지인들 밖에 투자를 안 하세요. 예전에 4~5년 전에 사려고 알아보셨던 분들은 지금 알아보면 절대 안 사세요. 옛날 금액을 아니까." <br> <br>반면 20여 곳이나 되는 산사태 위험지역을 대비하는 예산은 턱없이 부족합니다. <br> <br>[김병수 / 울릉군수] <br>"저희 예산이 정말로 너무 부족해서 자체 사업은 할 수 있는 사업이 별로 없습니다. 거의 국·도비 보조사업으로만 할 수 밖에 없는 그런 재정여건이기 때문에." <br> <br>잘려 나가고 파헤쳐진 울릉도의 현실은 무분별한 개발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를 진지하게 묻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<br>전혜정 기자 hye@donga.com <br>연출 : 이민경 <br>구성 : 지한결 이소연 <br>그래픽 : 김승훈